열린광장

자유게시판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극회 토굴 제73회 정기공연 <도망찾기> 안내

작성자백윤주

작성일시2025-05-18 오후 9:43:41

첨부파일 도망찾기 포스터.jpg

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소속 연극동아리 '토굴'에서 올리는 73회 정기공연 <도망찾기>를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도망찾기>는 우리가 살면서 하게 되는 도망의 의미에 대한 창작극입니다.

토굴은 모든 관객이 즐길 수 있는 접근성 높은 공연을 지향하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접근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한글자막

- 음성해설

- 휠체어석 운영​

 

자세한 공연 정보 안내드리겠습니다. 

 

공연 일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5 29 () 19:30

5 30 () 19:30

5 31 () 14:00

5 31 () 18:00

 

공연 장소는 연세대학교 학생회관 4층 무악극장(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학생회관 4)입니다.

 

러닝타임은 약 90분이며, 별도의 인터미션은 없습니다.

 

티켓 가격은 정가 1만원, 장애인 복지카드 지참 시 장애인 할인가는 5천원으로, 동반 1인까지 할인이 적용됩니다.

 

공연 예매 방법은 아래의 링크에 접속해주시거나, 접근성 매니저 번호(010-3785-3644) 또는 토굴 인스타그램(@yonseitogul) 중 편하신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공연 예매 링크https://forms.gle/UiDHRz7Hnd4VMoyR7

 

-

 

다음은 공연의 시놉시스입니다.

어릴 적부터 셋도 없는 단짝이던 대학생 '로나, , 호수.'

셋은 로나의 오랜 꿈을 위해 연극부 '떼굴'에 가입하게 된다.

모든 것이 괴짜 같던 떼굴의 동아리방에서 우연히 발견하게 된 낡은 보물지도 한 장.

하지만 지도를 따라 도착한 곳엔 보물은 없고, 신비한 존재인 '요정'이 그들을 기다릴 뿐이었다.

요정은 그들에게 보물이 아닌 다른 무언가를 보여주려 하는데... 

-

 

다음은 포스터 설명입니다.

 

포스터의 배경은 맑은 하늘입니다. 하늘에는 흰 구름이 떠 있습니다

배경은 실제 하늘 사진이며, 그 위에 인물 그림이 더해져 있습니다.

중앙에는 극의 주인공 세 명이 보입니다. 호수, 로나, 훈이입니다

각자 다른 옷을 입고 있습니다. 세 사람은 하늘을 향해 점프하는 모습입니다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뛰어오르는 방향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왼쪽 아래에는 녹음기가 있습니다. 화면에 빨간 점과 Rec라는 글자가 보입니다

오른쪽 위에는 공연 정보가 있습니다

공연 제목은 도망찾기입니다. 하얀 글씨로 크게 쓰여 있습니다.

왼쪽 아래에는 토굴이라는 단체명이 손글씨처럼 적혀 있습니다.

이 포스터는 푸른 배경과 역동적인 움직임이 특징입니다.

 

 -

 

다음은 기타 안내사항입니다.

 

전 회차 폐쇄형 한글 자막 및 휠체어석이 운영됩니다.

- 공연 시작 1시간 전부터 무악극장 앞 티켓 부스에서 티켓 수령 가능합니다.

- 공연 당일 예매 취소 시 환불은 불가합니다.

- 해당 공연은 '선착순 지정좌석제'입니다. (공연 당일 티켓 부스에서 티켓 수령 후 좌석 지정이 가능합니다.)

- 모든 할인은 실 관람자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할인권 선택 시 현장에서 관련 증빙자료를 확인 후 티켓 수령이 가능하며, 증빙자료 미지참 시 정가에 대한 차액을 지불해 주셔야 합니다. (공연 당일 할인권종의 변경은 어렵습니다.)

- 무악극장은 연세대학교 학생회관 1층 정문으로 입장 후 우측의 엘리베이터 탑승, 4층 좌측에 있습니다.

- 휠체어의 경우, 지하 1층 우체국과 우리은행 사이의 출입구를 통해 입장 가능합니다. 출입구로 들어와 오른쪽 코너를 돌고, 쭉 직진하여 우측의 엘리베이터 탑승, 4층 좌측에 무악극장이 있습니다.

- 교내 주차 시 인근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근 지역 교통 혼잡으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드립니다.)

 

이외에도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접근성 매니저 번호(010-3785-3644)​로 편하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더 많은 정보는 토굴 공식 인스타그램 (@yonseitogul)(페이지 링크: Instagram) 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